본문 바로가기
  • Veritas vos liberabit
큐브/분석

QTM, STM, ETM.. 턴메트릭(Turn Metric)이란?

by Rouxist 2019. 12. 8.

"Feliks Zemdegs의 3x3x3 세계신기록 5.53초 분석" 작성 시 참고한 레딧의 댓글

위 사진이 이 포스트를 작성할 때 시간분배와 tps를 참고했다고 한, 레딧 포스트에 달린 댓글의 내용입니다.

아래 표가 핵심인데, 소요시간(Time)은 정말 그냥 시간이고, 그 옆에 STM/stps/ETM/etps로 회전수와 tps를 분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alg.cubing.net 에서 솔루션을 입력하면 "Moves" 옆에 표시되는 (62h, 69q, 62s, 65e)역시 회전수를 의미합니다.

h,q,s,e 모두가 회전수를 세는 각각 다른 방법들입니다.

(참고로 예시로 사용한 위 솔루션은 젬덱스의 5.53초 평균 세계신기록 첫번째 솔브입니다.)

 

그럼 회전수를 세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이번 포스트의 내용은 스피드솔빙 위키를 참고했습니다.


Turn Metric

회전수를 세는 방법을 Turn Metric이라고 부릅니다. 위에서 말한 STM, ETM에서 TMTurn Metric을 줄인 말 입니다.

(눈치 채셨겠지만, STM으로 tps를 구한 것이 stps, ETM으로 tps를 구한 것이 etps입니다.)

Turn Metric은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1.HTM(또는 FTM)

2.STM

3.OBTM

4.ETM

5.QTM

6.ATM

7.QSTM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HTM(또는 FTM)

HTM : Half Turn Metric

HTM은 최소회전(FMC)에서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한 면을 돌리면 1회전(R도 1회전, R2도 1회전)

-Rw같은 더블무브도 1회전

-M2와 같은 중간 층 회전은 Rw2 R2와 같이 취급하여 2회전

-시점변경은 세지 않음

 

예시로 하나만 직접 세어보면..

y L' U2 M' x' D R2 U R2 u' R2 B 

위 공식은 총 몇 회전일까요?

y L' U2 M' x' D R2 U R2 u' R2 B 

보라색은 모두 1회전, 빨간색은 2회전

총 11회전입니다.(HTM)

 

 

2.STM

STM : Slice Turn Metric

STM의 경우 HTM과 거의 유사합니다.

 

-한 면을 돌리면 1회전(R도 1회전, R2도 1회전)

-Rw같은 더블무브도 1회전

-M2와 같은 중간 층 회전도 1회전

-시점변경은 세지 않음

 

STM에서는 M, S, E, M2, S2, E2 역시 1회전으로 셉니다. 

그럼 아까 공식은?

y L' U2 M' x' D R2 U R2 u' R2 B 

이번에는 M'을 1회전으로 세니 총 10회전입니다.(STM)

 

M이나 M2를 1회전으로 세는 것이 합리적인 루해법, 블라인드 솔루션에서 STM이 적합합니다.

 

 

3.OBTM

OBTM : Outer Block Turn Metric

OBTM은 세계큐브협회(!)에서 사용하는 턴 메트릭입니다.

자세한 정의는 WCA규정제12조 : 표기법의 조항을 통해 알아봅시다.

 

 

  • 12a3) 외부 블록 턴 방식 (OBT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12a3a) ‘면의 움직임’과 ‘여러 층의 바깥쪽 부분 움직임’에 해당하는 회전은 1회전으로 센다.
    • 12a3b) 퍼즐 전체의 회전은 0회전으로 센다.

 

즉, R R2 Rw 3Rw, U2, Uw2, 3Uw2 모두 1회전이고 시점변환은 카운트하지 않습니다.

 

 

4.ETM

ETM : Execution Turn Metric

ETM은 실제 솔브의 회전수를 유추해서 적는 방법으로, David Woner라는 분이 고안했다고 합니다. 위키에서 문서길이도 가장 깁니다.

솔브영상이 있는 솔브들에 한해 솔브 시 핑거트릭까지 보면서 최대한 실질적으로 세는 방법이라, 좀 복잡합니다.

 

1. 시점변환은 1회전으로 세줍니다. 리그립(Regrip : 큐브를 잡는 손의 자세를 바꾸는 행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 R2는 보통 손목으로 확 돌리니까 1회전으로 칩니다.

 

3. U2는 1회전일 수도 있고 2회전일 수도 있습니다. 미시세계도 아니고 이게 무슨 소린고 하니

-만약 U2를 검지-중지로 연달아 쳐서 "촤락!" 했다면 1회전으로 계산

-핑거가 꼬이거나 상황판단을 하면서 U U, U' U'과 같이 끊어서 두 번 돌렸다면 2회전입니다.

괜히 솔브영상이 필요한게 아니죠. 

 

4.그 외 Rw를 1회전으로 세거나 하는건 같습니다.

 

2회전을 잘 세는게 핵심인데, U2에서 보통 많이 갈립니다. R2를 끊어서 하는 경우는 잘 없고, L2나 F2나 B2를 쓰는 공식은 흔치 않으니까요.

 

 

참고로 위 솔브를 보면 65e라고 나와있는데(ETM으로 65회전), 미리보기에서 한 시점변환까지 포함돼서 그렇지 사실은 ETM으로 64회전입니다.

 

5.QTM

QTM : Quarter Turn Metric

QTM에서는 90도를 돌리면 1회전입니다. 즉, U2나 R2도 2회전으로 따집니다.

(그럼 M2는 4회전...? 잘 모르겠네요)

y L' U2 M' x' D R2 U R2 u' R2 B 

QTM으로 세면 위 공식은 무려 15회전이 됩니다.

 

6.ATM 

ATM : Axial Turn Metric

ATM기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ATM은 정보가 부족합니다. 준비중..

 

 

7.QSTM

QSTM : Quarter Slice Turn Metric

QSTM은 지금까지 나온 방법들의 짬뽕입니다.

  U2, R2 중간층 회전 M,S,E 시점변환
QTM 2회전 2회전 0회전
STM 1회전 1회전 0회전
QSTM 2회전 1회전 0회전

즉 QTM과 STM을 섞었다는 뜻인데, 흔히 쓰는 방법은 아니니 그냥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넘어갑시다.

'큐브 >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liks Zemdegs의 3x3x3 세계신기록 5.53초 분석  (0) 201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