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illip Lewicki(닉네임 : Lazer0Monkey)의 분석영상을 번역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시간 분배와 tps 분석은 레딧 포스트에 달린 댓글을 참고했습니다.
참고자료
QTM, STM, ETM.. 턴메트릭(Turn Metric)이란?
첫번째 시도(7.16)
스크램블 : R2 B2 L2 U' L2 D' L' U F U2 F' R' D B U R F2
윗면 하얀색, 앞면 빨간색이 오도록 돌려줍니다. 노란색으로 크로스를 맞췄고, 첫번째 페어로는 초록/주황을 미리 봐둡니다.
크로스 : R2' F D F D2
크로스는 평범합니다. 빨리 맞추고 미리 봐둔 초록/주황페어를 바로 맞추기 시작합니다.
첫번째 페어 : R U' R' y R U' R' U R' U' R
첫번째 초록/주황페어는 10회전이 사용됐습니다. 펠릭스 본인도 비효율적인(inefficient)방법이었다 말하고, U' F' L U L' F와 같은 방법으로 맞출 수도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두번째 페어 : y' U' L' U L R' U R
두번째는 파랑/주황페어입니다. U'는 코너를 위치시키는 셋업이고, L' U L을 통해 페어링, R' U R로 페어를 뒤로 삽입했습니다.
세번째, 네번째 페어 : R U' R' F U F' / U' R U R'
R U' R'을 통해 파랑/빨강페어를 만들지만, 그 순간 초록/빨강페어가 눈에 들어와 세번째 페어는 초록/빨강이 됩니다. 초록/빨강페어를 맞추는 과정에서 파랑/빨강페어가 깨짐을 예측했을 것이고, 바로 U' R U R'으로 맞춰주는 모습입니다.
OLL : U2 F U R U2 R' U' R U2 R' U' F'
OLL단계에서는 맨 처음 U2라는 AUF가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코너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니 OLLCP를 해야했다고 설명합니다만, 솔브 당시에는 그냥 OLL을 사용했습니다. 영상 4분29초 쯤을 보시면 OLLCP를 사용해 U펌으로 끝내는 솔루션도 가능했음을 보여줍니다.
PLL : U R U R' F' R U2 R' U2 R' F R U R U2 R' U
PLL은 평범한 R펌입니다.
정리
y // 미리보기
R2' F D F D2 // 크로스
y F U' F' R U' R' U R' U' R // 첫번째 페어
y' U' L' U L R' U R // 두번째 페어
R U' R' F U F' // 세번째 페어
U' R U R' // 네번째 페어
U2 F U R U2 R' U' R U2 R' U' F' // OLL
U R U R' F' R U2 R' U2 R' F R U R U2 R' U // PLL (Ra펌)
64회전/7.16초 = 8.94etps
두번째 시도(5.04)
스크램블 : D' L D' U2 R2 U' B L U2 B2 R U R2 F2 D' U2 B'
윗면 초록색, 앞면 하얀색으로 돌려줍니다. 파란색 크로스를 만들 것이고, 첫번째 페어는 노랑/빨강, 두번째 페어는 노랑/주황으로 봐둡니다.
크로스 : U' R2 D R' D2
미리 봐둔 두 페어가 전혀 흩어지지 않고, 시야에서 사라지지도 않은 모습입니다. 바로 노랑/빨강페어를 맞춰볼까요?
첫번째 페어 : R U2 R' U L U L'
맞추는 과정 중 의도치 않게 뒤에서 하양/빨강페어가 맞춰졌지만, 시야에는 잘 들어오지 않는 위치입니다. 계획대로 노랑/주황페어를 맞춥니다.
두번째 페어 : U' R' U2 R d' R U R'
계획한 페어들은 다 맞췄고, 이제 바로 눈에 들어오는 하양/빨강페어를 맞춰줍시다.
세번째 페어 : U' L U2 L'
세펀째 페어를 맞추고, 마지막 페어의 엣지조각이 잘 보이지 않으니 시점변환을 합니다.
네번째 페어 : y' U R U' R' y' R' U' R
마지막 페어는 평범합니다. 굳이 몇가지 경우의 수를 살펴보자면..
1. Lazer0Monkey는 영상에서 y' R' U' R이 아닌 F' U' F로 페어를 삽입했는데, 이렇게 진행하면 OLL을 하기 전 U'을 해야 하고
2. 젬덱스가 했듯 위와 같이 y' R' U' R을 하면 엡텔과정에서 시점변환을 한 번 하게 되지만, OLL은 AUF없이 바로 가능합니다.
3. 그리고, 영상 8분 25초에서 펠릭스가 y'없이 U' L' U' L U L' U L로 맞췄을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주는데, OLL이 딱히 좋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4. 또, F' L F L' / L' U' L를 통해 엣지 오리엔테이션까지 모두 맞춰주는 솔루션도 있었을 것이라 설명합니다.
OLL : F R U' R' U' R U R' F'
PLL : R U' R U R U R U' R' U' R2 U'
LL을 붙여서 쓴 이유는 영상의 내용때문입니다.
Y펌의 앞부분으로 OLL을 맞추고 U펌을 한 LL일 뿐인데, 중요한건 이게 2016년 젬덱스의 4.73초 세계신기록과 LL솔루션이 같다는 것!을 Lazer0Monkey가 언급해줬습니다. LL부분만 따졌을 때 21회전으로 5회 중 세번째로 짧았고, tps도 11.01로 상당히 높았습니다.
정리
x y2 // 미리보기
U' R2 D R' D2 // 크로스
R U' U' R' U L U L' // 1번째 페어
U' R' U2 R d' R U R' // 2번째 페어
U' L U2 L' // 3번째 페어
y' U R U' R' y' R' U' R // 4번째 페어
F R U' R' U' R U R' F' // OLL
R U' R U R U R U' R' U' R2 U' // PLL(U펌)
55회전/5.04초 = 10.91etps
세번째 시도(4.67)
스크램블 : U' R2 B U' L' F' R D2 U L' F2 D2 R' F' D B' D' U'
윗면 파랑색, 앞면 빨간색으로 돌려줍니다. 크로스는 빨간색입니다.
엑스크로스 : L' U' r' l U' l' R' U' R D
솔루션이 복잡하니 끊어서 알아봅시다.
- L' U' r' : 크로스조각 세개(초록/빨강, 노랑/빨강, 파랑/빨강)을 맞춰줍니다. 이 때 맞춰지는 노랑/초록/빨강코너가 엑스크로스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해야 할 일은,
1. 하양/빨강조각 크로스 자리로 옮기기
2. UF위치에 있는 노랑/초록조각을 BR위치로 옮겨 엑스크로스 만들 준비
3. 그 과정에서 뒤에 만들어진 하양/초록페어 보존
- l U' l' : 하양/빨강조각을 맞춰줍니다.(1번)
- R' U' R : 노랑/초록조각을 BR위치로 옮겨줍니다.(2번) 동시에 하양/초록페어도 깨지지 않고 위로 올라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3번)
-D : 크로스를 완성시킵니다.
이 때 노랑/파랑페어가 서비스로 맞춰집니다. 이건 젬덱스도 예측하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두번째 페어 : y' U' U L F' L' F
보존한 하양/초록페어를 슬렛지해머로 맞춥니다. 이걸 U' L' U L로 맞췄다면 노랑/파랑페어가 깨졌겠죠?
세번째 페어 : U' R' U R
고이고이 보존한 노랑/파랑페어를 맞춥니다.
네번째 페어 : U R' F R F' U' R' F R F'
마지막 페어는 슬렛지해머(R' F R F')으로 페어링한 후, 다시 슬렛지해머로 삽입해 OLL스킵을 유도합니다.
PLL : R U' R U R U R U' R' U' R2
U펌으로 마무리! 덕분에 LL은 0.94초, 11.74tps가 나왔습니다.(LL만)
정리
z' x' // 미리보기
L' U' r' l U' l' R' U' R D // 엑스크로스
y' U' U L F' L' F // 2번째 페어
U' R' U R // 3번째 페어
U R' F R F' U' R' F R F' // 4번째 페어+OLL스킵
R U' R U R U R U' R' U' R2 // PLL(U펌)
42회전/4.67초 = 8.99etps
네번째 시도(6.55)
스크램블 : L B2 U2 B' R' D2 R' B L B F' U2 L D R2 B R
윗면 빨간색, 앞면은 노란색으로 돌려줍니다. 크로스는 주황색입니다.
크로스 : U' R' F D2 R' U R' D'
U' R' F D2까지 하고 R2를 할 것 같지만, 첫번째 페어인 하양/초록 엣지를 세팅하기 위해 R' U R'으로 끊은 모습입니다.
첫번째 페어 : L U L'
덕분에 첫번째 페어는 3회전으로 마무리됩니다.
두번째 페어 : U' R U' R' U' R' U' R
하양/파랑 페어를 맞춥니다.
세번째 페어 : U' R U' R' U L' U' L
네번째 페어 : U R U R' U' R U R'
크게 특별한 내용은 없고, 다만 시점변환이 없었다는 점에서 훌륭한 f2l이었습니다. (f2l만 10.5etps)
OLL : U' l' U' L U' L' U L U' L' U U l
PLL : R2 U R' U R' U' R U' R2 (D U') R' U R D'
역시나 특별한 점은 없습니다.
5회 중 가장 무난해서 설명할게 없는 솔브인데, 영상 14분 14초부터 이에 대한 코멘트가 나옵니다.
실수 없는 좋은 솔브였고, (펠릭스 본인은)대회에서 남은 솔브가 몇초를 기록해야 기록을 세울 수 있는지 같은건 생각하지 않는 편이라는 등의 얘기를 짧게 합니다.
정리
x z' // 미리보기
U' R' F D2 R' U R' D' // 크로스
L U L' // 첫번째 페어
U' R U' R' U' R' U' R // 두번째 페어
U' R U' R' U L' U' L // 세번째 페어
U R U R' U' R U R' // 네번째 페어
U' l' U' L U' L' U L U' L' U U l // OLL
R2 U R' U R' U' R U' R2 (D U') R' U R D' // PLL(Ga펌)
63회전/6.55초 = 9.62etps
다섯번째 시도(4.99)
스크램블 : U' R F U2 F' U2 F2 D' R D' L2 R' F D B2 L' B R' U2
윗면 초록색, 앞면 노란색으로 돌려줍니다. 크로스는 파란색입니다.
크로스 : U' R U2 R (U' D)
크로스조각 중 세개는 이미 아랫면에 모여있기 때문에, 하양/파랑조각만 맞춰주면 됩니다. 그 과정에서, 하양/빨강페어를 맞추기 위해 U' R2가 아니라 U' R U2 R로 끊어서 맞추는 모습입니다.
첫번째, 두번째 페어 : R' U R2 U' R'
미리 만든 하양/빨강 페어와, 맞추는 과정에서 보인 빨강/노랑페어를 맞추는 모습입니다.
여기까지 맞추고 나면, 크로스는 파란색으로 시작했지만 빨간면도 대거 맞춰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해서, 이 때 빨간면이 아래로 가게 돌리고(z) 빨간 크로스로 진행하면, 한 페어만 넣어도 f2l이 완성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엡텔 페어를 세 개만 맞추고 f2l단계를 끝내버리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상 16분36초 쯤에 진짜 이 이야기를 합니다. 저 단계에서 다음 페어가 정말 보이는게 없었다면 정말 빨간크로스로 바꿨을 수도 있겠다고 말하지만, 결론적으로는 그냥 파란크로스로 쭉 진행합니다.
세번째 페어 : y' R U' R' U' R U R' U2 R U' R'
고이고이 보존한 노랑/주황페어를 맞춥니다.
이런 케이스를 키홀 방식으로 시점변환 없이 해결할 수도 있는데, 영상 18분 13초에 나옵니다.
키홀이 더 효율적이라고 말하는데, 젬덱스 본인도 저렇게 조금 비효율적인 솔브를 한 것은 다음 단계를 위한 큰그림이라기보단 그냥 긴장한 탓인 것 같다고.. 합니다.
네번째 페어 :y' U R' F R F' U (R U' R' R U' R')
하양/주황페어를 슬렛지해머(R' F R F')으로 페어링합니다.
괄호친 부분을 풀어서 쓰면 R U2 R'인데, 그냥 슬렛지해머(R' F R F')후에 바로 R U' R'로 3회전 삽입을 할 수도 있었지만, 더 나은 OLL케이스 유도를 위해 U R U2 R'으로 풀어나갔습니다. 이는 경험으로 쌓인 감..?에 의존했다는 것 같네요.
PLL : y' x' R U' R D2 R' U R D2 R2'
평범한 A펌입니다만, 영상에서 Lazer0Monkey가 A펌을 하기 전 젬덱스의 리그립 속도에 감탄을 합니다. 젬덱스 본인도 당시 리스크를 감수하고 과감하게 돌렸다고 합니다.
정리
x // 미리보기
U' R U2 R (U' D) // 크로스
R' U R2 U' R' // 첫번째, 두번째 페어
y' R U' R' U' R U R' U2 R U' R' // 세번째 페어
y' U R' F R F' U R U' R' R U' R' // 네번째 페어
F R U R' U' F' // OLL
y' x' R U' R D2 R' U R D2 R2' // PLL(A펌)
53회전/4.99초 = 10.62etps
이번에도 세계신기록 영상이 공개되자 많은 반응이 있었습니다. '아무도 엄두를 못내는데 젬덱스는 혼자 깨버린다' 라든가..
유튜브 댓글을 보면 이번에는 관중의 태도에 대한 의견이 많이 보입니다.
"젬덱스가 자리를 박차고 일어서자 20여명이 모여들었다"
"마지막 솔브 하자마자 애들이 소환됐다"
"이제 젬덱스가 'yes!'만 해도 사람들은 뭔가 터졌다는걸 아는구나"
"저기 가서 사람들 좀 모아봐. 난 편하게 좀 맞추게"
많은 반응이 있었는데, 그도 그럴것이 이번에는 좀 심한 관중난입이 있었습니다. 영상 뒷부분을 보면 한 참가자가 영상 정중앙에 들어와서 마치 씬스틸러처럼 난입하는데, 자세한 행각은 영상으로 직접 확인해 봅시다. 이 때문에 젬덱스와 제이든이 그 참가자를 밀어버리는 장면이 그대로 올라왔습니다. 젬덱스가 "이건영상에 안들어갈거다"라고 말하는 것까지 녹화된게 킬포
이것 때문에 "23세의 스피드큐버로서 애를 밀어버린건 좀 지나치지 않았나", "저거 장난이다 마!", "쟤 진짜 싸우자 태도 아니였냐" 등 많은 댓글들이 달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상 보면 "나 매일 마약한다"(....)같은 말도 하는 걸로 보아 어떤 사람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쪼록 관중들의 더욱 성숙한 태도의 필요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된 세계신기록이었 것 같습니다.
'큐브 >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M, STM, ETM.. 턴메트릭(Turn Metric)이란? (0) | 2019.12.08 |
---|